본문 바로가기
Universe

달을 향한 새로운 패권 전쟁, 누가 먼저 기지를 세울까?

by goodaylog 2025. 5. 23.

달을 향한 새로운 패권 전쟁

우주 강국들의 달 탐사, 경쟁인가 협력인가?


2020년대를 기점으로 달 탐사는 더 이상 과학적 호기심만의 대상이 아닙니다.
달의 자원, 전략적 위치, 미래 우주 개발 거점으로서의 가치가 부각되며
미국, 중국, 러시아, 인도 등 우주 강국들은 달 정착을 위한 본격 경쟁에 돌입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각국의 계획과 기술력, 실제 추진력 등을 비교하며
누가 달에 먼저 기지를 건설하고 주도권을 잡을지 살펴봅니다.


미국,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로 달 주도권 노린다

미국은 NASA 중심의 ‘아르테미스(Artemis)’ 프로젝트를 통해
2025년 유인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,
민간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빠른 속도로 개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

특히 스페이스X의 스타십, 블루오리진의 착륙선 개발
달 기지 건설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
다국적 협력체인 ‘아르테미스 연합’은 달 거버넌스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됩니다.


중국, ‘창어’ 시리즈와 달 남극 탐사로 속도 낸다

중국은 ‘창어(嫦娥)’ 시리즈를 통해 달 뒷면 착륙, 샘플 귀환 등
연이어 성공적인 임무를 수행하며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.
특히 2030년 전후 유인 달 착륙과 남극 기지 건설을 명확히 선언하며
장기적인 달 정착 전략을 공개했습니다.

"미국이 시스템과 연합 중심이라면, 중국은 자체 기술과 국가 주도형"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


러시아, 달 탐사 재개에 시동 걸었지만 불확실성 존재

러시아는 과거 ‘루나’ 시리즈로 달 탐사의 선두주자였지만,
최근 수십 년간 달 탐사에서 공백을 보였습니다.
2022년부터 루나25호, 26호 계획을 부활시켰으나
기술력과 예산 부족으로 단독 기지 건설에는 불확실성이 큰 상태입니다.

전문가들은 "러시아는 중국과의 협력 없이는 달 정착이 어렵다"고 평가합니다.


인도, 저비용 고성능 전략으로 주목 받는 신흥 주자

인도는 ‘찬드라얀’ 시리즈를 통해 달 착륙 및 궤도 임무를 꾸준히 시도해 왔으며
2023년 ‘찬드라얀 3호’의 달 남극 착륙 성공으로 기술력을 인정받았습니다.

독자적 기지 건설보다는 국제 협력 참여 가능성이 높고,
다국적 탐사 프로젝트에서 중간 허브 역할을 할 가능성이 큽니다.


국제협력인가 신냉전의 시작인가?

미국 중심의 ‘아르테미스 협정’과 중국-러시아의 달 탐사 동맹은
달에서의 양자 구도 형성 가능성을 보여줍니다.

국가 주요 계획 목표 연도 주도 전략

미국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2025 민관협력 + 연합 주도
중국 유인 착륙 + 남극 기지 2030 국가 주도 + 자체 기술
러시아 루나 시리즈 복귀 불확실 협력 중심 가능성
인도 달 남극 탐사 성공 완료 협력 참여형

달 정착지로 가장 주목받는 ‘달 남극’의 이유는?

달의 남극은 영구 음영 지역과 얼음 존재 가능성 때문에
우주 기지에 필요한 물과 연료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핵심 지역입니다.
각국이 이 지역을 선점하려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요인 설명

물 자원 얼음 → 수소+산소 → 식수+연료 활용 가능
에너지 햇빛이 일정하게 비추는 고지대 존재
전략성 지형 다양성으로 탐사 및 기지 설계 유리

결론: 누가 먼저 정착할까?

기술력, 자금력, 협력 구조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
미국이 2025년을 전후해 달 기지를 먼저 세울 가능성이 높습니다.

다만 중국은 체계적인 장기 계획과 실적을 바탕으로
2030년 이후에는 미국과 대등한 달 활동 능력을 확보할 전망입니다.

"달 정착은 단기 레이스가 아닌 100년 우주 시대의 서막"이라는 말처럼,
지금의 경쟁은 시작일 뿐이며, 달은 그 첫 기착지에 불과합니다.